
브레인과 케이원, 한국창의 등 개인투자자 돈을 일임 운용하는 투자자문사들이 지난 1년간 고객 계좌에서 무려 20%에 달하는 막대한 손실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7% 하락했음을 감안하면 하락폭이 그 두 배를 훨씬 넘어섰다.
20일 매일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주요 투자자문사 수익률과 포트폴리오 현황에 따르면 투자자문사들은 변동성이 심한 증시에서 특정 종목에 올인하는 `몰빵` 투자로 큰 손실을 냈다. 브레인투자자문(대표 박건영)은 지난 19일 기준 최근 1년 수익률이 -20.8%에 달했고, 케이원(대표 권남학) 역시 -8% 손실을 기록했다. 창의(대표 서재형)도 같은 기간 -20%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최대 공모펀드인 한국투자 삼성그룹적립식펀드는 -1.65% 손실에 그쳤다.
자문사 수탁액은 1년 전 9조원대까지 불었다가 손실을 계속 내면서 현재는 5조원대까지 하락했다.
브레인은 삼성전자ㆍ현대차 등 이른바 `전차(電ㆍ車)` 종목 편입 비중이 70%를 넘을 정도로 쏠림 현상이 극심했다. 시장 흐름에 편승해서 단타매매하는 `모 아니면 도` 투자 방식이 화를 부른 셈이다. 상승장에선 시장 주도 종목에 집중 투자하면 수익을 크게 낼 수 있지만 변동성이 크거나 하락장에선 이 같은 자문사 투자패턴이 손실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종목당 10%룰 등 규제와 공시의무가 많은 일반 공모형 펀드와 달리 자문사 일임형 계좌는 감독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들이 장기 투자는커녕 단기 수익률 게임에만 치중하면서 시장 기반이 크게 취약해졌다. 국내 증시가 외국인들에게 휘둘리는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개인투자자들 손실이 커졌다.
국내 주식형 펀드 5개 중 4개가 올해 2분기 수익률이 시장을 밑돌 정도로 수익률이 저조하고 개인들이 연초 이후 순매수한 개별 종목도 대거 손실을 기록 중이다.
20일 매일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주요 투자자문사 수익률과 포트폴리오 현황에 따르면 투자자문사들은 변동성이 심한 증시에서 특정 종목에 올인하는 `몰빵` 투자로 큰 손실을 냈다. 브레인투자자문(대표 박건영)은 지난 19일 기준 최근 1년 수익률이 -20.8%에 달했고, 케이원(대표 권남학) 역시 -8% 손실을 기록했다. 창의(대표 서재형)도 같은 기간 -20%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최대 공모펀드인 한국투자 삼성그룹적립식펀드는 -1.65% 손실에 그쳤다.
자문사 수탁액은 1년 전 9조원대까지 불었다가 손실을 계속 내면서 현재는 5조원대까지 하락했다.
브레인은 삼성전자ㆍ현대차 등 이른바 `전차(電ㆍ車)` 종목 편입 비중이 70%를 넘을 정도로 쏠림 현상이 극심했다. 시장 흐름에 편승해서 단타매매하는 `모 아니면 도` 투자 방식이 화를 부른 셈이다. 상승장에선 시장 주도 종목에 집중 투자하면 수익을 크게 낼 수 있지만 변동성이 크거나 하락장에선 이 같은 자문사 투자패턴이 손실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종목당 10%룰 등 규제와 공시의무가 많은 일반 공모형 펀드와 달리 자문사 일임형 계좌는 감독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들이 장기 투자는커녕 단기 수익률 게임에만 치중하면서 시장 기반이 크게 취약해졌다. 국내 증시가 외국인들에게 휘둘리는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개인투자자들 손실이 커졌다.
국내 주식형 펀드 5개 중 4개가 올해 2분기 수익률이 시장을 밑돌 정도로 수익률이 저조하고 개인들이 연초 이후 순매수한 개별 종목도 대거 손실을 기록 중이다.
'경제변동 > 경제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채권 거래량 감소로 인한 증권.금융업계 불황 (0) | 2012.06.25 |
---|---|
화물연대 총파업 (0) | 2012.06.25 |
일본국채 외국인비중 사상최대…1년새 204조원 늘어 8.3% (0) | 2012.06.20 |
서울 아파트값 1년새 23조 줄어 (0) | 2012.06.12 |
아마존 7월 한국 진출 (0) | 201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