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종이교과서 퇴장…맞춤형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온라인수업 활성화…2조2000억 투입
오는 2015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하는 서책 형태의 교과서가 사라지고,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스마트 교육이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 |
2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정보화전략위 보고대회에서 이각범 위원장이 스마트교육 추진배경 등 안건을 보고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2조 228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추진전략에 따르면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2015년까지 모든 학교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는 인터넷서버에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자료를 내려받아 사용하는 기술이다.
디지털교과서에는 교과내용뿐만 아니라 학습참고서, 문제집, 학습사전, 공책, 멀티미디어 요소자료 등 다양한 컨텐츠가 담기게 된다.
PC, 스마트패드, 스마트 TV 등 다양한 디지털 단말기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 |
29일 오전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로 지정된 서울 구로구 구로동 구일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테블릿PC로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2014년에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만들며, 당분간은 기존 종이교과서와 병행해 사용한다.
디지털 교과서는 무거운 책가방을 대신하고, 학습지와 참고서를 별도로 사는 부담을 덜어줘 공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천재지변이나 질병 등으로 인한 결석 학생은 온라인으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학생들의 학습선택권을 보장하고, 학업공백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또 온라인 수업을 활성화하고 온라인을 통한 평가와 개인별 학업수준 진단이 이뤄진다.
교과부는 내년부터 전체 교원의 25% 수준으로 스마트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시도교육청별로 스마트교육 체험관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 밖에 세종특별자치시와 선도 교육청에 스마트 교육을 실현할 ‘미래학교’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우선 내년 3월 세종시의 첫마을 지역에 개교하는 나성초등학교(24학급)에 미래학교 방식을 완벽히 적용하며 인근 송원초교에는 이를 일부 도입한다.
문의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보화과 02-2100-8611
'평생교육사 > 평생교육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능력개발과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공조체제 구축 (0) | 2012.12.06 |
---|---|
2012년 국가 평생교육통계조사 결과 발표 (0) | 2012.12.05 |
이 대통령 “스마트교육, 부작용 없게 해야” (0) | 2011.06.30 |
2010년 국가 평생교육통계조사 결과 발표 (0) | 2010.11.26 |
2011년, 전국 도서관인들 대전에서 모인다. (0) | 201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