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변동/경제흐름

휘발유가 중 세금비중은 62.7%

국제유가가 눈에 띄게 내리면서 국내 휘발유 판매가격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7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1월 둘째 주 기준 휘발유 1L의 주유소 평균 판매가격(1391.9원)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2.7%(872.4원)다. 휘발유 5만원어치를 주유하면 3만1350원이 세금이라는 뜻이다.

기름 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월 셋째 주(63.9%)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휘발유 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46.6%에서 2013년 47.8%, 2014년 49.9%, 지난해 58.5%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원유 가격과 관계없이 휘발유에 고정적으로 1리터(L)당 900원에 육박하는 세금이 매겨지기 때문이다.

유류세는 가격에 따라 변하는 종가세(從價稅)가 아니라 리터당 일정액이 매겨지는 종량세(從量稅)다.

흔히 유류세로 불리는 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주행세 등 3종이 745.9원이고 부가가치세 10%가 붙는다. 여기에 원유 수입 당시의 관세 3%와 수입부과금 리터당 16원까지 더하면 세금 액수가 더 커진다.

국제유가가 더 떨어져도 휘발유 값이 리터당 1300원 아래로 내려가기 어려운 이유이다.

실제로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지난 21일 리터당 173.98원으로 1년 전의 305.23원보다 43%(131.3원)나 내렸다. 그러나 같은 기간 주유소 휘발유 값은 1468.93원에서 1376.56원으로 6.3%(92.4원) 내리는 데 그쳤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