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모바일·헬스케어 등 첨단분야에 투자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정부와 손잡고 첨단분야 창업·중소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만든다.
중소기업청은 대기업과 벤처기업 등 민간 부문의 출자를 받아 6천억 원 규모의 `미래창조펀드'를 조성, 운용사 선정을 거쳐 다음 달 중순부터 본격적인 투자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미래창조펀드는 정부가 은행 융자에 편중된 자금조달 체계를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려고 추진하는 `벤처·창업 자금 생태계 선순환 방안'의 주요 과제다.
정부가 2천억 원을 출자하고 대기업과 선도 벤처기업, 연기금 등 민간 부문이 나머지를 내놓는다.
정보기술(IT)·모바일·헬스케어·의료기기·융복합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하되 민간 출자자가 희망하는 투자 분야를 우선으로 고려한다.
전체 펀드 가운데 2천억 원은 위험부담이 높아 민간 영역에서 투자를 잘 안 하는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네오위즈·다우기술·NHN 등 선도 벤처기업들이 1천억 원 이상의 `새싹기업 키우기 펀드'를 조성해 창업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나머지 4천억 원은 중견·대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 투자할 계획이다.
두산과 코오롱을 비롯한 대기업 출자자들이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의 기업을 발굴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멘토' 역할을 수행한다.
민간 출자자에게는 수익 발생 시 펀드수익의 3%까지 우선 배분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중기청 관계자는 "그동안 벤처펀드 출자에 소극적인 대기업이 참여한 점이 큰 의미가 있다"면서 "현재도 여러 대기업이 펀드 출자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기업의 벤처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동반성장위원회의 동반성장지수를 산정할 때 중소·벤처기업 펀드에 대한 대기업 출자 실적에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한정화 중기청장은 "미래창조펀드 출범을 계기로 벤처투자 선진국인 미국과 같이 대기업과 선도 벤처기업이 창업·벤처기업 투자와 육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제변동 > 경제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를 바꿀 혁신기술 12가지 - 무선 충전 (0) | 2014.02.08 |
---|---|
중국인 `통큰 의료관광` 한번에 수천만원 (0) | 2013.10.11 |
LTE라우터 (0) | 2013.07.24 |
실리콘밸리서 인기끄는 앱 `우버`…한국에도 고급 콜택시 달린다 (0) | 2013.07.22 |
2013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것들 (0) | 201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