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변동/경제흐름

카카오, 자격 증명 서비스 한국산업인력공단과 MOU(업무협약)체결

`생활형 플랫폼`을 지향하는 카카오가 자격 증명 서비스에 뛰어든다. 4519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카카오톡에서 정보처리기사, 공인중개사, 한식조리기능사 등 국가자격시험 관련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만든다는 구상이다. 카카오톡에서 자신이 보유한 국가자격증을 한번에 확인하고, 모바일로도 자격증 인증이 가능하게 하면 카카오 이용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이와 연계된 사업모델도 촉발될 수 있을거란 판단에서다.

7일 카카오(공동대표 여민수·조수용)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김동만)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가자격정보 연계와 활용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그동안 공단은 국가자격정보 누리집인 큐넷(Q-net)을 통해 자격정보를 제공해 왔다. 이번 협약으로 카카오톡과 포털사이트 다음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국가자격 수험자와 취득자는 시험 일정, 시험 장소, 합격 여부 확인 등 자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이 같은 콘텐츠를 카카오톡 알림 혹은 카카오톡 내 서비스 개설로 확인할 수 있게 돼 접근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김동만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카카오 플랫폼을 통해 국가 자격 수험자와 취득자에게 국가자격정보를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 국가자격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카카오톡 내부에 본인이 취득한 국가자격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탭을 개설할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어 본인이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인지를 확인해주는 것이다. 이후 인증이 완료되면 카카오톡 프로필 화면에 취득한 자격증을 노출할 수 있게 하는 형태다. 카카오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의 전문성과 경력이 공식적으로 인증되면 피싱이나 전문가 사칭 등 각종 사기를 줄일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카카오의 이번 MOU는 정부의 디지털뉴딜 정책과 발맞춰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전날 국회 포럼 출범식에서 "정부의 디지털뉴딜 정책으로 일반 국민이 바로 체감할 수 있는 결과물이 나왔으면 좋겠다"며 "주민등록증을 모바일로 전환시키고, 내 휴대폰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면 국민이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이 됐구나 체감할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가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정부기관과 협약을 맺은 것은 처음이 아니다. 올해 6월에는 행정안전부와 `디지털 정부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읍면동 주민자치센터가 운영하는 교양 전문강좌 수강 신청을 카카오톡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할 계획이다.

또 공용주차장, 구청 강당, 회의실 등 공공시설도 카카오톡에서 예약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수강 신청, 공공시설 예약 관련 정보를 오픈 API 형태로 개방하고 카카오는 이를 활용해 연내 서비스를 선보이는 방식이다. 카카오톡에서 주민등록등본 등 전자증명서를 신청·발급하고, 세금이나 과태료를 고지받아 납부하는 서비스도 내년에 선보일 방침이다.

카카오의 연이은 MOU는 모바일 신분증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위한 담금질로 분석된다. 카카오는 올해 초부터 `신분증TF`팀을 구성하고 모바일 인증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가는 등 신원 관리와 본인 인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심을 쏟고 있다.

 

 공인인증서 없이도 본인 신분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보다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2017년 6월부터 `카카오 페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출 등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전자서명이 필요한 중요 문서를 카카오톡으로 확인하고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서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인인증서나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도 본인의 신분을 인증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출시 2개월 만에 사용자 15만명을 넘어선 이후 2년여 만에 이용자 500만명을 달성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