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생교육사/학습마을 정보모음

청소년공부방, 지자체서 예산 편성 운영

여성가족부는 18일자 한국일보가 보도한 ‘저소득층 아동 공부방, 줄줄이 문 닫는다’제하 기사에 대해 “지역의 수요와 필요성이 있는 청소년공부방에 대해선 지자체 차원에서 예산을 편성, 운영할 수 있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는 “청소년공부방사업이 올해부터 지방이관 사업으로 결정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신문은 이날 자 보도에서 “올해부터 지방 청소년공부방에 대한 국비 지원 끊기면서 전국 368개 공부방 중 23% 가량이 폐쇄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청소년공부방은 1곳에 연 500~1000만 원(국고)의 운영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0년 여성가족부 소관 사업이었으나, ‘복지예산사업 정비 및 전달체계 개선 종합대책(2009년)’에 따라 2011년부터 지방이관 사업으로 결정됐다.

이 사업은 1990년 초 정책사업 초기 취지인 ‘빈곤청소년 독서실’ 지원 중심 사업 이었으나, 최근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청소년을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인 ‘청소년수련시설’,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역도서관’ 등이 지역사회 내에 설치됨에 따라 청소년공부방 운영 의미가 많이 퇴색된 상황이라고 여가부는 설명했다.

이어 “청소년공부방 중 2011년도 지역적 수요와 필요성이 있는 공부방에 대해선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적 특성에 맞게 예산을 편성, 운영할 수 있도록 권유하고 있다"며 "현재 368개소중 278개소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청소년공부방으로 지속 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안정적 운영 및 지속적 예산지원이 가능한 방과후 지원서비스 시설인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역아동센터’ 등으로 전환을 유도하는 한편, 12곳은 올해 지역아동센터로 전환하고, 9곳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나 ‘도서관’ 등 청소년 이용시설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운영 중단 또는 중단예정인 18곳에 대해선 청소년공부방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지역내 해당 청소년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문화의집 등), 지역아동센터, 방과후학교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문의: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 청소년역량개발과 02-2075-8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