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11일 오전 0시 시작된 초대형 쇼핑이벤트 '광군제'(光棍節) 행사에서 또다시 폭발적인 매출액을 기록했다.
알리바바는 이날 베이징(北京)의 베이징올림픽 수영경기장인 '수이리팡'(水立方)에 초대형 전광판을 설치하고 내외신 기자 500여명을 불러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이 행사의 실시간 매출액 추이를 공개했다.
'쌍(雙) 11일' 행사로도 불리는 이번 이벤트에서 알리바바의 매출은 단 72초만에 10억 위안(1813억원)을 돌파했다. 2013년 6분, 2014년 2분이 걸린 것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다.
100억 위안(1조8130억원)을 넘어선 시점도 12분 28초로 지난해 37분 기록을 25분이나 앞당겼다. 오전 0시 34분 매출액은 2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오전 0시 30분을 전후한 시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180여개 국가나 지역의 고객들이 이번 행사에서 물건을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인 판매 상품인 휴대전화는 메이주와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산이 1∼3위를 차지하고 애플이 4위로 나타났다.
중국인이 구매한 외국산 제품은 압타밀과 뉴트릴론, 벨라미스 등 1∼3위가 모두 분유였다.
대중 수출국 상위 1∼5위는 일본과 미국, 한국, 호주, 독일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베스트 판매 상품 1∼3위가 모두 미용제품이었고 특히 아이오페 비비크림(4위), 헤라 비비크림(6위), 미샤 비비크림(14위)이 베스트 판매 외국산 제품 상위 20위에 포진했다.
외국으로 많이 팔린 중국산 제품은 여성의류, 휴대전화 액세서리, 휴대전화로 파악됐다.
소비 규모에서는 홍콩과 미국, 대만, 마카오, 호주가 각각 1∼5위를 기록했다.
올해 행사에는 4만 개 이상의 기업과 3만여 개의 브랜드가 참여해 600만 종의 제품을 선보였다.
미국과 유럽, 일본, 한국 등 25개 국가와 지역에 있는 5000여개 해외 브랜드도 참가했다고 알리바바 측은 밝혔다.
중국 언론은 이날 24시간 동안 알리바바의 총매출액은 870억 위안(15조772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광군제 : 매년 찾아오는 11월 11일은 중국에서 솔로의 날, 이른바 '광군제(솔로의 날)'로 불리며 솔로탈출을 꿈꾸는 중국의 싱글 남녀들이 즐기며 파티를 하는 날을 의미했다.
하지만 최근 '광군제’를 맞이해 실적을 늘리려는 중국 판매자들의 다양한 프로모션 행사 속에서 광군제가 ‘쇼핑의 날’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다. 이 기간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쇼핑몰들을 중심으로 50% 할인은 기본, 심지어 대폭세일이 급증하며 중국 소비자, 특히 젊은이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빼빼로데이나 광군제나..
곧 대기업의 영업스타일일뿐인데
대중은 이런 걸 좋아하다니
군중심리에 휩쓸려 허무하게 소비해버리는 대중들..
그리곤 스스로 무너지는
이런걸 이용하는 사람들이 나쁜 사람인지...그것을 뻔히 알면서도 휩쓸리는 대중이 나쁜지...각자 생각하시길
'뉴스 > 깜짝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억대 보증금 ‘초호화 실버타운' (0) | 2016.01.12 |
---|---|
무인차 22일 국내 첫 도로주행 (0) | 2015.11.18 |
483억원이었던 韓 국민총소득…60년만에 3만배로 증가 (0) | 2014.12.15 |
도서 구입비 세제 감면 방안 정책토론회 개최 (0) | 2012.12.06 |
애플 알고보니 한국 휴대폰 벤치마킹 (0) | 2012.09.05 |